25/02/2018

Scene/Asia in Tokyo

Only available in 일본어.

27/05/2016

Arahmaiani (Indonesia) – Ten Questions on Democracy

Only available in 영어 and 일본어.

31/01/2016

인도네시아 리포트 제 1부 서양형 ‘데모크라시’와 촌락형 ‘무랴와라’ 사이의 모순

어려운 시찰 과제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고 있었다.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와 현대 예술 (특히 신체를 활용한 예술)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 조금이라도 인도네시아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한 줄을 읽고 이미 이 안에 다양한 개념적 마찰이 포함되어 있음을 눈치챘으리라. 우선 인도네시아라는 세계 제4위의 인구를 가진 다민족 도서 국가의 정치적 상황을 일괄적으로 정리할 수는 없다는 사실. 두 번째로, 컨템포러리 아트라는 서양의 개념이 과거 식민지 지배를 경험했던 나라에 있어 무엇을 포함하고 무엇을 제외하는가라는 문제. 그리고 세 번째, 역시 서양에서 수입해온 개념이자 특히 수하르토(Suharto:1921-2008)의 군사독재 이후 남용되고 악용되어 온 정치적 논리인 민주주의에 대해 일반 시민들과 논의할 때 어떤 지역적 관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난제. 첫 번째의 다양성부터 설명해보기로 하자. 흔히 말하듯, 이 나라는 리스본부터 이스탄불의 직선거리에 필적하는 동서 5000킬로미터에 분포하는 크고 작은 17,508개의 섬들로 구성되어있다. 그 가운데 약 6000개가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다. 2억 3천만 명이나 되는 국민은 약 300개의 다른 민족집단으로 구성되며, 각 민족의 사용 언어도 200 내지 400가지나 존재한다. 종교도 복잡하다. 국민의 약 9할이 이슬람을 믿는 세계 최대의 무슬림 국가이지만, 인류학자 클립포드 기어츠가 지적하듯, 무슬림이라고 하더라도 애니미즘, 힌두, 불교적 요소를 느슨하게 융합하는 ‘아반간(abangan)’부터 엄격한 종교 체계를 유지한 아체주에 다수 거주하는 ‘산뜨리(santri)’까지 교의의 농도도 각기 다르다. 이처럼 민족적, 종교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국가를 하나로 아우르기 위해, 오가와 타다시가 『인도네시아 – 다민족 국가의 모색』 (1993) 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1950년의 독립 이후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른 목소리를 하나의 나라로서 한데 모으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그렇지만 인도네시아에 매료되어 이 땅에서 눈을 감은 베네딕트 앤더슨 의 명저 『상상의 공동체』(1983)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근본적으로 다른 민족을 하나의 국민으로 취급하는 담론은 정치적인 픽션 이외에 그 무엇도 아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자하사 인도네시아어로 ‘정치’는 ‘폴리틱(politic)’이라는 외래어로 번역되어 국정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이 아니라, 내정적 억압, 역사의 날조, 권력의 행사 등과 연관된 좋지 않은 명사,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활자 상의 조사 단계에서 이미 인도네시아의 복잡함, 다양함, 광대함에 가벼운 현기증을 느끼며 건국의 아버지의 이름을 물려받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 도착한다. … Continue reading 인도네시아 리포트 제 1부 서양형 ‘데모크라시’와 촌락형 ‘무랴와라’ 사이의 모순

10/01/2016

파미 파질에게 물어본 민주주의에 관련한 10가지 질문 (말레이시아)

이름과 직업을 가르쳐 주세요. 파미 파질 (Fahmi Fadzil). 작가, 퍼포머, 정치가입니다. 좀 더 자세하게 자신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언젠가부터 예술과 정치에 대해 동시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습니다. 1998년경이었던가요, 그 무렵 쿠알라룸푸르의 대학에서 예술을 공부하기 시작해 연출가인 마크 테 (Mark Teh)를 만나 그와 아트 컬렉티브를 결성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학교의 밖에서는 ‘레포르마시 (Reformacy: 개혁) 운동’이 발발했습니다. 당시의 부총리 겸 재무상인 안와르 이브라힘 (Anwar Ibrahim)이 정치 부패에 분개하여 같은 불만을 가진 약 10만 명의 사람들을 이끌고, 마하티르 (Mahathir Mohamad)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며 시내를 행진했습니다. 이 운동을 목격한 저는 우선 제 안에 생겨난 이유를 알 수 없는 감정을 토해내기 위해 몇 편이나 시를 썼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이듬해 실시된 총선거에 자원 봉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아직 선거권도 갖지 못한 나이였지만요. 그렇지만 그 후 저는 정치와도 예술과도 관계가 없는, 화학공학의 공부를 하기 위해 미국으로 유학을 갑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9.11을 목격하게 됩니다.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로든 무지각하게 그 후의 미국의 방침을 결정하는 듯한 미국의 친구들의 언동을 보고… 정말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그 가운데에 제일 깊이 생각했던 문제는 ‘자신의 나라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였습니다. 그런 일들로 괴로워하고 있었기 때문에 귀국 후 화학공학의 지식을 살려 마츠시타 공업 주식회사에 취직했음에도 2개월 정도밖에 견디지 못했습니다 (웃음). 그동안에도 계속해서 시를 쓰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와양 쿨릿 (Wayang Kulit그림자 연극)을 공부하기 위해, 토착문화가 남아 있는 켈란탄 주에 가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예술의 사회 공헌의 한계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예술 활동에서 멀어진다면 ‘ 그건 어떤 때일까’라고 자문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항상 모국의 사람들을 위해 창작 활동을 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제가 만들어 내는 시나 와양 쿨릿에서, 어떠한 정치적인 이유로 관객이 없어지게 된다면…두 가지의 선택이 남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나는 자신이 쓰고자 하는 것을 다시 생각해서 관객에게 다가서는 것. 다른 하나는 관객을 되찾기 위해 어떤 식으로든 정치 참여를 시작하는 것. 저는 후자를 선택했습니다. 제 예술 관계자 친구들의 대부분은 어떤 부자유스러움을 느껴 말레이시아 이외의 나라에 망명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 Continue reading 파미 파질에게 물어본 민주주의에 관련한 10가지 질문 (말레이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