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earch of a New Tokyo Commons
Only available in 영어 and 일본어.
Only available in 영어 and 일본어.
‘예술이 사회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영국에서 이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1990년대 후반 신노동당 정권 하에서 공적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면, 일본에서는 2011년의 동일본대지진과 그로 인해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사고가 이러한 문제를 공유하는 데 커다란 계기를 제공했다. 전자가 구체적인 사회과제를 다루면서 사회참여예술(socially-engaged art)을 뒷받침한데 반해, 후자의 경우에는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예술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이들이 이 문제에 대해 느꼈던 절실한 무력감이, 그들로 하여금 예전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사회문제를 바라보게 했다. 실제로는 지방의 과소화 문제, 저출산 고령화 사회, 경제 위기, 에너지 문제, 비정규 고용의 문제 등, 일본이 예전부터 끌어안고 있었던 사회 문제들이 표면화된 데 지나지 않았지만, 너무나도 거대한 재난과 사고였기에, 그러한 사회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자성하며 현실 사회를 관찰하는 작업 혹은 사회문제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작업, 나아가 과거의 작품들 안에서 사회와의 관계를 찾아내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민주당의 노다 요시히코 정권하에서 이루어진 무기 수출 규제와 센카쿠 제도의 국유화, 그리고 아베 신조 내각 이후 외교 및 안전 보장 정책의 우경화 등의 결과로 내셔널리즘의 발흥이 현저해지고 있다.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를 일관적으로 비판해 온 보수 세력이 전후 민주주의로 인해 상실되었다고 주장하는 가족이나 공동체의 의식 등의 부활은 공표된 자민당 개정 헌법 초안 안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자유주의 아래 재정파탄에 가까운 지자체가 주민자치회에 약간의 예산과 함께 행정서비스를 맡기는, 어떤 의미로는 가부장제적인 공동체의 재편성이 조용히 일어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세 작품은 이러한 배외적인 상황 속에서, 마찰이 생겨나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형태의 협동을 작품화한 작업들이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협업이란 흔히 말하는 가부장제적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며, 애초에 합의의 형성 자체를 지향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자크 랑시에르가 말하는 불합의의 실천이자 각각의 입장을 교환 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주의라는 비판도, 현실에 입각해있지 않다는 비판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목소리를 갖지 못한 이들의 목소리, 금지된 목소리를 끌어내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본래의 의미의 민주주의의 실천의 하나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이들 작업 안에서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비춰내는 역할에 그치지 않는 예술의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자유민주당개정헌법초안(2012년 4월 27일 결정) 자크 … Continue reading 불합의를 형성하는 아트, 그 실험과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