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Research

인도네시아 리포트 제 2부 현재진행형의 1965년과 ‘라꺗’의 권리

29/01/2016

상황은 수카르노 퇴진으로 인해 더욱더 악화된다. 1965년 9월 30일 당시 육군 대신 겸 육군참모장이었던 수카르노는 군사 쿠데타를 계획 실행하여 이듬해 2월에 제2대 인도네시아 대통령 자리에 취임한다. 그는 스스로 정치적 입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카르노의 지지 기반인 인도네시아 공산당원과 그 동조자라 알려진 중화계 민족, 인텔리 층, 노동조합의 멤버들을 숙청하기 시작한다. 이 숙청 작업을 서양 국가들이 뒤에서 돕고 있었다. 그 결과, 수카르노는 1년도 채 되지 않아 약 100만 명에 이르는 소위 ‘공산당원’을 학살한다. 2016년 현재에도 희생자의 유족들은 정치 중추부에서 권력의 자리에 오르는 리더들을 두려워하며 살고 있다. 중화계 민족은 1998년 5월에 발발한 중국인 배척운동 당시 또 한 번의 학살과 강간을 겪었기 때문에 역사적 비극을 과거가 아닌 현재형의 폭력으로 경험하고 있다. ‘1965’라는 해는 인도네시아의 현대 예술을 이해하기 위한 중심 용어의 하나임이 틀림없다. 전국적인 대학살에 대해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아직도 너무나 많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이 ‘21세기의 5대 학살’ 가운데 하나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 것은 죠슈아 오펜하이머 감독에 의한 다큐멘터리 영화 <액트 오브 킬링>(2012)이다. 2014년에 처음으로 국군 출신이 아닌 조코 위도도(Joko Widodo)가 대통령직에 오르기까지 거의 모든 사실이 은폐되고 개찬되어 왔다. Ruangrupa 소속의 비디오 아티스트, 마할디카 유다(Mahardika Yudha)씨와 앞에서 소개한 아라흐마이아니 씨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지적하듯, 1965년의 비극은 아직도 많은 교육 기관에서 왜곡된 형태로 논의되고 있다. 교사들은 ‘잔학한 공산당원을 응징하여 민주주의(데모크라시)를 확대해주신 수카르트 군사정권의 영웅들에게 감사합시다’라는 아름다운 픽션을 아이들에게 전하고 있다. ‘데모크라시’라는 외래어에 혐오감을 표현하는 아티스트들이 많은 것도 당연하다. 일본인에게는 ‘민주주의란 좋은 것이다’라는 상당히 나이브한 기성 개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것도 모르는 일본인인 필자도 처음에는 다른 뜻 없이 ‘이 나라에서 민주주의는 기능하고 있습니까?’라고 그 지역의 아티스트들에게 질문을 했었다. 지금 생각하면 너무나 실례가 되는 질문이다. 많은 인도네시아의 사람들은 이 질문에 대해 ‘예스’라고 대답하면서 쓴웃음을 짓는 표정으로 ‘노’라는 비언어적인 대답을 동시에 한다. 왜냐하면 이 ‘예스’에는 모순된 두 가지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확실히 이 나라에는 정치적 제압에 의해 이루어낸 데모크라시가 있다. 그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치 연구자인 혼나 준이 『민주화의 패러독스 –인도네시아에서 보는 아시아 정치의 심층』 (2013)에서 상세하게 논하고 … Continue reading 인도네시아 리포트 제 2부 현재진행형의 1965년과 ‘라꺗’의 권리